한글 읽기전용 해제 하기
업무상의 이유로 엑셀이나 한글 문서 파일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 하루에도 몇번씩 프로그램을 열었다가 닫았다가 편집을 했다 하는데요.
오늘은 한글 읽기전용 해제 하는 방법을 손쉽게 알아보았습니다.
읽기전용일 경우 해결 하는 방법은 의외로 쉽습니다.
무슨 이유때문에 읽기전용으로 설정이 되어 전달이 되었는진 모르겠지만 실수로 하거나 여러가지 사유가 있겠죠.
일을 할려고 문서파일을 hwp로 열어보면 해당 파일의 상태를 알 수 있는데요.
처음에는 늘 하던것이라 아무생각이 없었는데 편집을 할려고 입력을 하니 되지 않는 경우를 종종 접하게 됩니다.
처음 실행을 해서 위쪽에 보시면 [읽기전용]]이라고 마킹이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그에 따르는 각종 메뉴들도 회색으로 비활성화가 되어 있음을 알 수있죠.
본문 내용은 커서가 깜빡거리고 있기 때문에 본문만 봐서는 별 이상이 없는 부분인데요.
읽기전용 해제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은 열었던 한글파일을 닫아야 합니다.
닫고 난뒤에 해당 문서파일이 있는 위치로 이동을 하셔야 하겠죠.
그리고 해당 파일에 마우스 오른쪽을 누르시면 다양한 메뉴가 나오게 되는데 그 중에서 제일 아래쪽에 속성을 선택을 합니다.
속성 내용 중에 제일 아래쪽 보면 특성 부분에 읽기 전용에 체크가 되어 있는 부분이 있는데요.
여기 체크를 푸시면 한글 읽기전용이 해제가 됩니다.
체크를 제거하고 난 뒤에 확인을 눌러 반영을 시키면 작업이 완료가 됩니다.
그러면 다시 hwp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해당 문서를 열어보면 이제 편집이 됨을 알 수 있습니다.
위쪽 표시줄이나 메뉴들이 비활성화 되어 있던것이 풀려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필요한 표작업이나 문서 자료 수정등의 편집을 수행을 하시면 되겠죠.
간단한것도 저는 처음에 몰라서 컴퓨터가 이상한줄 알고 여러번을 실행했다 껏다가 리부팅했던 과거가 생각이 나네요.
이로써 한글 읽기전용 해제 하는법을 가볍게 알아보았습니다.
처음에는 위쪽 메뉴 중에서 옵션으로 무엇인가를 바꿔야 하는줄 알고 한참을 헤맸던 기억도 있네요.
작업중에 무엇인가를 잘못눌러서 설정이 되어 있는 줄 알고 시간을 많이 허비하기도 했습니다.
간단한 부분을 통해서 해결을 할 수가 있는데 거의 매일매일 접하는 업무라서 그런지 이러한 부분이 저에게는 크게 다가오기도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