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 업데이트 끄기 간단하게
여러가지 바이러스나 보안 요소들을 위해서 가장 최신의 윈도우10 버전으로 업데이트 하거나 여러가지 보안패치를 하는것이 꼭 나쁜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윈도우10 업데이트 기능을 꺼버리고 싶을 경우가 생기게 되는데요. 바쁘게 문서 작업을 해야 하는데 윈도우를 키거나 리부팅을 했더니 종료 도중에 업데이트를 갑자기 한다고 기다리게 하면서 마음만 급하게 되는 경험은 누구나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도 꼭 윈도우 필수 업데이트를 제외하고는 기능을 꺼두고 사용을 하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windows 10 자동업데이트는 끄고 설정을 해도 어느순간 풀리는 경우가 많은데요. 설정을 통해서 끌려면 gpedit..msc를 통해서 그룹 정책 편집을 해야 합니다.
기본적인 방식으로는 크게 두가지를 하여야 하는데 서비스에서 사용안함을 해야 하고 그룹정책 메뉴에서도 꺼주어야 합니다.
작업표시줄의 검색창에 service라고 검색하면 나오는 메뉴를 선택합니다.
항목중에 Windows Update를 눌러서 시작 유형을 사용안함으로 선택하시고 적용 누른 뒤 창을 닫으시면 됩니다..
다음으로 윈도우 작업표시줄 검색창에 gpedit라고 입력하시면 그룹 정책 편집 메뉴를 엽니다.
뜨는 화면에서 컴퓨터 구성 => 관리 템플릿 => windows 구성 요소 => windows 업데이트
항목을 선택 하시면 오른쪽에 더 많은 설정 항목이 나타납니다.. 여기에서 자동 업데이트 구성을 누르셔서 사용 안함으로 변경을 우선 하면 됩니다..
두가지의 설정을 하였으면 이제 윈도우 자동 업데이트는 동작을 하지 않는데요.
이러한 작업이 번거로울 경우는 많이 알려진 윈도우 자동 업데이트 끄기 프로그램인 Windows Update Blocker를 이용을 하시면 됩니다.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프로그램 실행 후 업데이트 활성화 / 비활성화만 선택을 해주시면 됩니다.
Windows Update Blocker v1.7
In Windows There is no option to turn off Windows Updates. Windows Update Blocker is a tool that helps you to disable or enable Updates.
www.sordum.org
수동으로 설정을 하더라도 가끔 저 같은 경우는 풀리는 경우가 몇번 있었습니다. 출력은 해달라고 하고 컴퓨터 종료를 했더니 갑자기 업데이트를 해서 기다리고 난처한 경우가 있어서 자동 업데이트는 스스로 조절을 해서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
최신 업데이트 된 버전을 쓰는것이 물론 제일 좋기는 하지만 가끔은 업데이트 이후에 컴퓨터가 뭔가 동작이 이상하거나 충돌이 나거나 하는 경우는 더러 발생을 하곤 합니다.
필요할때는 켜두고 아닐때는 꺼두고 사용을 할 수 있게 설정을 하고 쓰게 되면 좀 더 편하게 pc 이용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