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별 펀딩 확인 일괄적으로 하는 방법
코인 투자를 하다보면 선물의 가격을 보면 펀딩비율이라는 부분을 볼 수 있습니다.
펀딩은 각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비롯하여 각 종목에서 양펀비면 롱이 숏에게 음펀비면 숏이 롱에게 소정의 수수료를 지불하게 됩니다.
즉 공매수와 공매도 포지션 비율에 따라서 각 포지션이 지불을 하는 금액인데 바이낸스의 경우는 8시간마다 지불하게 됩니다.
그래서 펀딩 수수료를 챙기려고 하는 경우도 있어서 그 시간이 다가오게 되면 가격 변동이 급격하게 생기기도 합니다.
매매를 함에 있어서 펀딩율은 참고를 하고 또 고려를 하면 좋은 부분입니다.
가격이 급등을 하고 있어서 한없이 올라갈거 같은데 펀딩 비율도 한쪽 방향으로 급격하게 올라가게 되면 가격 조정이 누군가에 의해서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엄청나게 단기적으로 급등한 코인의 경우 음펀비가 앞도적으로 쌓이게 되면 폭락하겠구나가 아니라 되려 숏 포지션 청산을 위한 급등 무빙을 보여주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이러한 종목별 펀딩비율을 일괄적으로 거래소별로 확인을 할 수 있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바로 코인글라스에서 보시면 됩니다.
https://www.coinglass.com/FundingRate
Funding Rates For Perpetual Swaps-Funding Rates Compare-Funding rates arbitrage-Coinglass
Funding rates are periodic payments either to traders that are long or short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perpetual contract markets and spot prices. When the market is bullish, the funding rate is positive and long traders pay short traders. When the m
www.coinglass.com
사용법은 딱히 설명할 필요 없이 직관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내가 원하는 거래소의 어떤 종목이 현재 기준으로 펀딩이 어떻게 형성이 되어 있는지 음펀비인지 양펀비인지 한눈에 확인을 하실 수 있습니다.
코인 매매를 하면서 참고를 해야 하는 지표는 생각보다 많습니다. 그게 꼭 맞는 경우도 있고 무시하고 안맞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 중에 cme갭이라고 주말에는 운영되지 않는 토일 그리고 월요일이 시작되면 금요일 종가와 괴리율에 따라서 갭이 생기게 됩니다.
많은 시간동안 이렇게 생긴 갭은 메꾸러 오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았으므로 최근에 생긴 갭은 어떠한지도 찾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코인글라스에는 코인 종목별 펀딩비율 이외에도 롱숏 비율은 현재 어떻게 되는지 미결제 약정 현황은 어떻게 되는지 보실 수 있습니다.
코인 거래를 하다보면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사이트 몇몇곳은 알아두시면 매매할 때 참고를 하실 수 있습니다.
관심 없는 거래종목이라도 특이하게 음펀비가 너무 높거나 양펀비가 너무 높은 종목일 경우는 관심을 가지기도 합니다.